물고기가 기독교의 상징이된 이유가 뭘까?

Church News, I'm a reporter

교회가 교회를 돕는다!

홈 > 교회뉴스 > 교회교계뉴스
교회교계뉴스

물고기가 기독교의 상징이된 이유가 뭘까?

교회정보넷 0 3191
3664095115_wjcVun3B_549ae0656f7a9f68825d1a8c1200a485b30accfe.jpg
 
 


❈ ΙΧΘΥΣ


오래 전부터 물고기는 기독교의 상징이었습니다. 그 이유가 뭘까요? 요한복음 6장의 "오병이어 기적"이나 요한복음 21장의 "물고기 153마리의 기적" 때문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물고기 상징은 로마의 핍박을 받고 있던 초대교회의 성도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독특성과 유일성을 비밀스럽게 고백하기 위해 사용한 일종의 아크로스틱 혹은 애너그램 암호였답니다. 물고기에 담긴 상징성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고백을 중심으로 모여 "구원자 예수님"을 예배했습니다.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구원자"는 그들에게 꼭 필요한 신앙고백의 표현들이었지요.


이 표현들을 그 당시의 성도들이 사용했던 헬라어로 쓰면 "Ίησοῦς Χριστός, Θεοῦ Υἱός, Σωτήρ"가 됩니다. 자세히 보시면 다섯 개의 단어들이 보이지요? 각각의 단어들에서 첫 번째 알파벳을 따로 떼어 보겠습니다.


(1) Ίησοῦς (예수)➝ Ι

(2) Χριστός (그리스도)➝ Χ

(3) Θεοῦ (하나님의)➝ Θ

(4) Υἱός (아들) ➝ Υ

(5) Σωτήρ (구원자) ➝ Σ


이번에는 단어와 분리된 다섯 개의 알파벳들을 순서대로 모아보겠습니다.


Ι + Χ + Θ + Υ + Σ ➝ ΙΧΘΥΣ


보시다시피 ΙΧΘΥΣ라는 단어가 만들어 집니다. ΙΧΘΥΣ가 무슨 뜻일까요? 그렇습니다. "물고기"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구원자"가 "물고기"에 압축되어 들어간 셈이지요. 초대교회 성도들은 위에 설명된 순서들을 역으로 사유하여 물고기를 예수님의 독특성과 특별성을 의미하는 암호처럼 사용한 것입니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로마의 핍박 아래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고기 상징을 사용했습니다. 한 그리스도인이 길을 가다가 처음 보는 사람을 만났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물고기의 반을 의미하는 반호(⊂)를 그립니다. 반호를 받은 상대방이 그리스도인이 아니라면 그 뜻을 이해할 수 없어 그냥 지나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이라면 반대 방향으로 반호(⊃)를 그림으로 물고기의 온전한 모양을 완성시킵니다. 그렇게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구원자"라는 고백이 완성되지요. 얼마나 기뻤을까요? 서로 그리스도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성도들은 길에서 부둥켜 안고, 서로 다독이며, 필요한 것을 나눴습니다. 그리고 이 땅에서 다시 못보면 하늘에서 다시 보자는 말로 서로를 격려하며 헤어졌지요. 그들은 이런 방식으로 물고기 상징을 사용하며 서로를 위로했던 것입니다.


그 때로부터 천 년과 수 백 년이 지난 오늘, 여전히 ΙΧΘΥΣ가 적혀있는 물고기 상징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 열쇠고리, 귀걸이, 목걸이, 티셔츠 등에서 말이지요.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구원자"라는 고백이 공개적으로 선포되고 있는 듯하여 기쁘지만, 한 편으로는 씁쓸하기도 합니다. 거룩한 고백을 담고 있는 물고기 상징이 일개의 장식품으로 전락된 듯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예전에 어떤 목사님께서 "십자가를 목에 달지 말고 가슴에 새기라"고 했는데, 물고기 상징도 그렇게 변질되고 있는 것같아 아쉽습니다.


초대교회 성도들의 삶과 제 삶을 비교해 봅니다. 제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마음껏 예수님의 이름을 부를 수 있고, 목청 높여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으며, 통성으로 기도까지 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로마의 핍박을 피해 카타콤에 숨어살던 초대교회의 성도들, 밖에 나왔을 때는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물고기 반을 상징하는 반호(⊂)를 그리며 자신의 신앙을 표현한 그들이 가장 원했던 상황을 저는 소유하고 있다는 말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풍성해서 귀한 줄 모르는 괘씸한 모습이 제게 보이는듯하여 부끄럽기만 합니다.


'ΙΧΘΥΣ가 내 자동차, 액세서리, 옷에서 보여지는 것만큼, 내 삶에서도 보여지는가?'


이 질문이 끊이지 않고 저를 따라오는 오늘입니다.


이상환 칼럼 


0 Comments
Hot

인기 감사해야 할 이유

댓글 0 | 조회 3,408
미국의실업가중에'스탠리탠' 이라는박사가있습니다.그는회사를크게세우고돈을많이벌어서유명하게되었는데,1976년에갑자기병이들었습니다.척추암3기라는진단을받았습니다.당시척추암은수술로도 약물로도고치기힘든병이었습니다.이사실이알려지자사람들은 그가절망가운데곧죽을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몇달후에그가 병상에서자리를툭툭털고일어나다시출근했습니다.사람들은깜짝놀라서아니 어떻게병이낫게된것입니… 더보기
Now

현재 물고기가 기독교의 상징이된 이유가 뭘까?

댓글 0 | 조회 3,192
❈ ΙΧΘΥΣ오래 전부터 물고기는 기독교의 상징이었습니다. 그 이유가 뭘까요? 요한복음 6장의 "오병이어 기적"이나 요한복음 21장의 "물고기 153마리의 기적" 때문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물고기 상징은 로마의 핍박을 받고 있던 초대교회의 성도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독특성과 유일성을 비밀스럽게 고백하기 위해 사용한 일종의 아크로스틱 혹은 애너그램 암호였답… 더보기
Hot

인기찬양도 열정적으로, 가요도 열정적인 나를 바라보다 문득…”

댓글 0 | 조회 3,059
“찬양도 열정적으로, 가요도 열정적인 나를 바라보다 문득…”10대 청소년들이 기독교 세계관을 배우면 어떤 사고의 변화를 경험할까? 기독학교 헤브론원형학교 학생들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기독교적 가치관을 학습하며 경험한 내면의 변화를 다양한 주제로 발표했다. 다음은 발표내용 요약문이다. <편집자>나는 거리를 지날 때마다 들리는 대중… 더보기
Hot

인기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고 계신다.

댓글 0 | 조회 2,997
[새롭게하소서] "아이돌보다 신학생이 행복해요“ - 가수 공민지하나님이 나를 사랑하고 계신다.무엇인지는 모르지만,이상한 힘이 있었다.나를 이끄는 소망이 있었다.문화계의 선한 영향력이 있는 목사가 되는 것이 꿈이다.제일 필요한건 인내라고 생각한다.인내와 겸손을 가지고 계속 노력했다.가장 힘들때 떠올렸던 찬양"주 은혜임을""예수 우리 왕이여""나는 예배자입니다… 더보기
Hot

인기 [이혜지의 캘리,하루] 잊을 수 없는 은혜

댓글 0 | 조회 2,990
잊을 수 없는 은혜주님의 크신 사랑자신을 버리심으로나를 품어주셨네허물을 덮으시고용납하시는 사랑놀라운 주님의 사랑내 맘을 녹이시네(‘잊을 수 없는 은혜’ 찬양 가사 중)
Hot

인기 ‘할렐루야’와 ‘알렐루야’

댓글 0 | 조회 2,942
이미지 CCMCAST‘알렐루야’는 헬라어·라틴어로 번역 과정서 나와, 개신교는 원래 발음인 ‘할렐루야’를 공식 사용‘아멘’만큼이나 많이 사용되는 교회용어가 ‘할렐루야’다. 할렐루야는 예배뿐 아니라 성도들 간의 인사말로도 쓰인다. 히브리어인 할렐루야는 두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다. ‘찬양하다’라는 뜻의 동사 ‘힐렐(hillel)’의 명령형인 ‘할렐루(halle… 더보기
Hot

인기 “어린이 찬양으로 하나님의 말씀 고백”

댓글 0 | 조회 2,933
작곡가한희은말씀암송위한어린이찬양앨범내작곡가한희은씨는6여년전2살이었던딸아이와한신교회영유아부예배를드리는동시에영유아부교사로서섬기게됐다.당시담당전도사는아이들과함께말씀으로된‘말씀찬양’을하기원했으나마땅하게할만한곡들을찾지못했고,그일을계기로한희은씨는한두달에1곡씩찬양을만들기시작했다.그렇게세상에오게된어린이말씀찬양Vol.1의제목은“하나님이세상을이처럼사랑하사”,영어로“ForGo… 더보기
Hot

인기 영적 대각성으로 목회자를 일깨운다.

댓글 0 | 조회 2,844
어제 새벽 3시경(2.27 화요일) 일어나 씻고 준비하고 4시에 교회서 사역 팀들과 만나 울산세미나를 향해 달려갔다.8시경 도착해 간단히 세미나 할 교회 근처 분식집에서 식사를 하고 교회에 가서 세미나 준비를 하고나니 9시가 넘었다. 여느때와 마찬가지로 9시45부터 30여분 찬양을 하고 시작한 세미나 중간에 점심시간 빼고 계속 인도하여 4시경 마치고 팀원들… 더보기
Hot

인기 “북한 지하교회에서 여전히 복음이 전파되고 있다”

댓글 0 | 조회 2,639
탈북자 주일룡 씨(사진: voakorea.com 캡처)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각국의 종교박해 생존자들을 면담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최근 전했다. 백악관은 지난 7월 17일 트럼프 대통령이 트럼프 행정부의 종교자유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하기 위해 17개국 출신의 종교박해 생존자 27명을 만났다고 밝혔다.이날 면담에는 미국 국무부가 주최한 ‘종교… 더보기
Hot

인기 길거리 찬양 미모의 절정고수

댓글 0 | 조회 1,772
하나님은 오늘도 방황하고 있는 한 영혼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a37c65bdfe62a649b27013ff27da007b_1674969923_1732.png



 

최근글


새댓글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