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곱은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얼마나 거주했는가?

Church News, I'm a reporter

교회가 교회를 돕는다!

홈 > 교회뉴스 > 교회교계뉴스
교회교계뉴스

야곱은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얼마나 거주했는가?

교회정보넷 0 4454
3664095115_vs5tonQR_973da343f1bca3b795a84bc9324ee1898e3da497.jpg


 

야곱의 하란 체류 40년설 



본문 : 창31: 38 및 41(내가 이 이십 년에 외삼촌과 함께 하였거니와 외삼촌의 암양들이나 암염소들이 낙태하지 아니 하였고 또 외삼촌의 양 떼의 수양을 내가 먹지 아니 하였으며.....내가 외삼촌의 집에 거한 이 이십 년에 외삼촌의 두 딸을 위하여 십사 년, 외삼촌의 양 떼를 위하여 육 년을 외삼촌을 봉사하였거니와 외삼촌께서 내 품값을 열 번이나 변역하였으니) 


들어가기 

   ◉ 일전, 창38:1절에 나오는 "그 후에"라는 단어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하여 목사님께 질문을 드렸던 적이 있습니다. 목사님으로부터 직접적인 답변을 듣지는 못했으나 다른 형제님께서 처음 접하는 매우 흥미로운 자료를 제시해 주신 바가 있습니다. 

   ◉ 그 자료의 요지는 '전통적으로 알고 있는 야곱의 하란 체류기간 20년은 잘못된 것으로서 성경의 증거에 의하면 40년간 체류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정말 처음 접하는 주장이라 큰 기대를 가지고 살펴보았습니다. 신학지식이 부족한 평신도의 한계로 말미암아 옳고 그름을 판정할 수는 없지만, 그 주장도 나름대로의 논리성을 지니고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제시된 자료의 상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따라서 오늘은 제시된 자료를 중심으로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20년설과 40년설의 핵심 차이점 

   ◉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창25장부터 창47장까지 폭 넓게 봐야 합니다. 

   ◉ 20년설은, 우리가 익히 아는 것으로서, 본문(창31:38 및 41)에 나오는 "이십 년"이라는 단어가 동일한 기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야곱이 하란에 거한 기간은 총 20년이라는 것이지요.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잘 아는 내용입니다. 

   ◉ 40년설은, 본문에 나오는 "이십 년"이 동일한 기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별개의 다른 기간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야곱이 하란에 거한 기간은 총 40년이 된다는 이론입니다. 


40년설의 추정과 저의 추정 비교 검토 

   ◉ 지난번 나누었던 '야곱과 요셉의 나이 차이'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40년설이 추정하는 내용과 제가 추정한 내용(20년설 기준)은 논리상 일치되는 부분도 있기는 합니다만, 세부적으로는 제법 차이가 납니다. 상세 내용은 생략하고 주요 차이만 요약하겠습니다. 

(앞의 수치는 40년설에 의한 야곱의 추정 나이이고 뒤의 것은 제가 추정한 나이입니다). 

     ○ 하란 이주   :  60세 / 76세 

     ○ 결혼        :  67세 / 83세(7일 간격으로 레아 및 라헬과 결혼) 

     ○ 루으벤 출생 :  68세 / 84세(나머지 아들들 출생년도는 생략) 

     ○ 일차 봉사   :  74세 / 미언급(7년씩 2회) 

     ○ 20년 봉사   :  94세 / 미언급 

     ○ 요셉 출생   :  91세 / 91세(40년설 : 새로운 20년의 제17년차에 출생) 

     ○ 양 떼 봉사  : 100세 / 96세(40년설 : 34년 이후부터 6년간 봉사했다는 의미) 

     ○ 가나안 귀환 : 100세 / 96세 

     ✳ 양 견해는 모두 허용오차를 1-2년 정도로 간주하여 추정한 결과들입니다. 


 ◉ 20년이라는 격차(추가하든지 제외하든지) 외에는 특별한 이견이 없는 것 같습니다만, 40년설은 20년설이 지니는 오류(?)로써 '84세에 맏아들을 낳은 사례가 성경에는 없다'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비록 맏아들이 아니더라도 야곱의 선후대 중에서 100세를 훨씬 넘은 나이에 자식을 낳은 사례는 많기 때문입니다. 아브라함은 147세(저의 추정입니다) 이후에 서자 6명을 낳은 것 같고, 데라도 130세(역시 제 추정입니다) 이후에 아브라함과 나홀을 낳은 것 같습니다. 따라서 야곱이 84세에 맏아들을 낳았다는 것은 전혀 불가능한 일만은 아닐 것입니다. 


20년설의 난점(?) 

   ◉ 정설로 인정되는 20년설은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내용입니다만 이 이론에도 미비점은 있습니다. 저의 의문인 창38:1의 '그 후에'와 별도 묵상인 '야곱과 요셉의 나이'에서도 밝혔던 것처럼, 20년설로서는 완전히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설명 곤란한 중요한 부분은 2가지입니다. 

   ◉ 먼저, 20년설을 기준할 경우, 루으벤(맏아들)으로부터 요셉(열한번째 아들)까지 낳는 데 소요된 총 기간은 약 7-8년 정도로 계산됩니다. 4명의 부인들(레아, 라헬, 실바, 빌하)이 낳았으므로 가능은 하지만, 레아의 경우는 쉽게 말할 수 없습니다. 아시다시피 레아는 처음 4명을 연년생으로 출산했고 일단 단산했다가 다시 3명(아들 둘 및 딸 하나)을 추가로 출산했습니다. 총 7명을 연년생으로 이어서 낳았다고 해도 빡빡한 기간인데, 중간에(어느 정도의 기간인지는 몰라도) 쉬었다가 낳았다면, 7-8년은 무척 부족한 기간일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묵상할 때 레아는 중간에 약 1년 내지 1년 반 정도 단산했다가 7명을 연년생으로 낳았다고 가정하고 논리를 전개시켰던 것입니다. 매우 궁색한 설명인 듯 합니다만 달리 말씀드릴 방법은 없을 것입니다. ! 

   ◉ 다음으로, 창38:1의 '그 후에' 질문에 나와 있듯이, 유다의 자손들의 애굽 이주시의 문제점을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 야곱이 70명(또는 75명)을 데리고 애굽으로 이주할 때, 그 숫자에 포함된 유다의 직계는 총 6명입니다. 유다 자신과 아들 3명(셀라와 베레스와 세라) 및 손자 2명(베레스의 아들인 헤스론과 하물)이 그들입니다. 요셉이 형제들에 의해 팔려갔다가 재회한 기간은 22년이라는 것이 정설임에 비추어, 이 기간 동안 유다에게 있어서, [자신의 결혼→득남→아들들의 성장 및 결혼→아들 2명 사망→며느리 다말과의 관계로 인한 아들 2명 출생→늦게 낳은 베레스의 성장 및 결혼→손자 2명 출생→애굽 이주] 등 일련의 사건이 일어났다고 보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하겠습니다. 특히 유다의 3남(죽은 2명 포함시) 셀라와 4남 베레스의 나이 ?! 汰甄? 무척 크다는 것(저는 약 20년 정도의 차이가 난다고 봅니다)을 고려한다면, 창46:12이 성립되기에는 너무나 짧은 기간이 됩니다. 무언가 다른 설명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제가 목사님께 질문을 드렸던 것이지요. 


40년설의 장점(?) 

   ◉ 20년설의 난점이 곧바로 40년설의 장점이 됩니다. 

   ◉ 먼저, 야곱의 11명의 아들들의 출생시기가 무척 원만하게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런 추정이 가능할 것입니다. 【①레아는 우선 4명을 연년생 또는 불연속적으로 낳음. ②라헬의 질투에 의해 촉발된 빌하로부터 2명 낳음. ③빌하의 성공을 반발한 레아의 방책에 의해 실바로부터 2명 낳음. ④상당기간(10년 내지 20년까지도 가능) 단산되었던 레아가 다시 아들 2명과 딸 1명을 추가로 낳음. ⑤라헬이 비로소 요셉을 낳음】. 여기서 레아의 단산기간을 적어도 10년 이상으로 보아야 성경의 분위기에 적합하게 됩니다(창29:35 및 창30:19). 만약 이 추정이 타당하다면 야곱의 11명 아들들의 총 출산기간은 27년 내지 28년이 됩니다. 연수(年數)에 관한 약간의 오차는 고려치 않아도 무방할 것입니다. 아무튼 20년설의 무리한 계산에 비해 훨씬 논리적인 추?! 隙막? 보여집니다. 

   ◉ 다음, 애굽 이주 숫자에 포함된 유다의 직계가족에 대한 문제도 자연스레 해결됩니다. 즉, 유다와 요셉의 나이 차이를 약 23-24세 정도로 본다면, 유다가 결혼하여 아들을 낳고 손자까지 볼 시간적 여유는 충분하다 하겠습니다. 물론 이 경우라 하더라도 창38:1의 '그 후에'가 의미하는 사건은 '요셉이 팔려간 후에'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조건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그 후에'라는 단어가 다른 어떤 사건을 지칭한다고 한다면, 40년설의 설명은 상당한 타당성이 있다 할 것입니다. 


그러면 어찌할 것인가? 

   ◉ 사실 성경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난제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 다룬 문제도 그러한 범주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저 편하게, 우리가 알고 있는 20년설을 수용한다면 아무 문제가 없을 것 같으나,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설명되지 않는 부분도 분명 있습니다. 이럴 경우 우리는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가장 합리적인 이해에 도달하려 애써 보는 것이 성도의 마땅한 자세라 할 것입니다. 

   ◉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40년설은 그런대로 가치 있는 제안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물론 제시된 40년설 자료에도 부족한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84세의 나이에 맏아들을 낳기 곤란했을 것'이라는 점에 대한 반론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고, 그 외에도 지엽적인 계산 착오나 오타(?) 등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틀에서 40년설은 나름대로 설득력을 지니고는 있으나(?), 자료에 기술된 내용만으로는 전적인 동의를 표명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바로 이 부분에서 평신도들의 한계를 되뇌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더 이상의 추정은 평신도에게는 너무나 벅찹니다. 그러니 이제는 말씀의 전문가들인 목사님들이나 신학자분들에게 부탁드리지 않을 도리가 없게 됩니다. 

   ※ 어떤 분은 애굽 이주 숫자(70명 및 75명) 문제를 다루면서, 성경에 이름이 기록된 유다의 자손들은 물론이요 이름이 기록되지 않은 므낫세와 에브라임의 자손들(행7:14의 5명이라고 추정되는 사람들)도 얼마든지 수용가능하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습니다. 이 견해를 수용한다면 20년설의 두 번째 난점인 유다의 자손 문제는 자연스레 해결된다 하겠습니다. 

   ◉ 따라서 저는 목사님께 다시 질문 드리는 것으로써 이 묵상의 결론을 대신하고자 합니다. "목사님, 40년설이 신학적으로 제기된 적이 있었는지의 여부와, 만약 있었다면 어떤 내용들이었는지, 또 만약 없었다면 목사님 개인의 견해는 어떤 것인지,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지요?" ♥ 


[답변]

우선 논리 정연하게 깊이 묵상하신 내용들을 나눠주어 너무나 감사하옵고 또 다시 정말 해박한 성경 지식에 경의를 표합니다. 솔직한 제 답변은 이 문제(애굽으로 이주한 야곱 가족들의 숫자가 75명인가 70명인가? 또 그를 뒷받침할 수 있는 창31장의 38절과 41절의 20년이 동일한 20년인지 각기 다른 20년으로 합이 40년인지?)에 관한한, 집사님이 저보다 훨씬 더 연구하셨고 그래서 더 정확하고도 많이 알고 계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야곱의 후손의 숫자에 관한 신학적 논란은 그 동안 광범위하게 있어 왔고 많은 학술 논문들도 발표되었습니다.(최근의 것만으로도 대표적으로 Le Boulluec and Sandavoir 1989, Childs 1987, Durham 1987, Schmidt 1988, Wevers 1990 & 1992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문제가 활발히 거론된 이유는 특별히 출1:1-5과 행7:14 사이에 합계 숫자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일 뿐 아니라, 출1:1-5의 기록만도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구약 사본 넷이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맛소라 사본(the Masoretic Text)과 사마리아오경(Samaritan Pentateuch)은 70명을, 사해사본(4Qexobd)과 칠십인역(the Septuagint)은 75명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런 차이가 있는 이유에 대해서조차 학자들간에 아직 일치된 의견이 없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Barthelemy는 맛소라 사본의 필사자들이 신10:22의 기록과 일치시키기 위해 수정했다고 1978년 주장했고 Le Boulleuc과 Sandavoir도 그 의견을 따릅니다. 그러나 이는 맛소라 사본과 칠십인역 중에 어느 쪽이 더 성경 원전에 가까운가에 대한 논란도 결론지어지지 않은 상태에선 하나의 가설 이상의 중요성을 지니지 않는 것입니다. 


요컨대 학계에서 활발한 토론이 있었던 70명과 75명에 대한 명확한 결론도 나와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그보다는 문제 제기가 적었던 20년 혹은 40년 설에 대한 명확한 의견을 저로선 제시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또 과문(寡聞)한 탓인지 몰라도 40년을 주장하는 학설을 제 개인적으로 별로 듣지 못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제기된 두 가지 질문의 중요도를 따지면 사실은 야곱이 하란에 얼마나 거주했느냐가 그 후손 몇 명이 애굽으로 이주했는가에 비해선 훨씬 더 클 것입니다. 그 이유는 70명과 75명의 경우는 지금까지 집사님이 살펴 본대로 계산 방법에 차이가 있으면 얼마든지 그 정도의 오차는 생길 수 있고 또 스데반이 헬라인 집사라서 칠십인역에 정통해 그 성경대로 따랐다고 하면 그런대로 논리적인 설명이 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야곱의 하란 거주 40년설은 집사님이 지적한 대로 여타 그와 연관된 성경 기록상의 모순들을 해석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힌트가 될 뿐 아니라, 야곱의 일대기를 근본적으로 다시 조명해 보아야 한다는 신학적 과제가 생깁니다. 그런데도 지금껏 학계에선 오히려 전자가 더 활발히 토론된 이유는 추측컨대 단지 신구약 기록 간에(그것도 정경으로 채택되어 편집된 한 성경 안에서) 분명한 문자적 차이가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야곱의 하란 거주 기간은 성경의 다른 부분에서 직접적 인용이나 연관된 기록이 없어 그  내용의 신빙성에 대해 구태여 의문을 제기할 필요가 없었을 것입니다. 하란 거주가 20년 밖에 안 된다면 집사님이 처음 제기했던 질문대로 비록 네 명의 아내가 있었지만 그 많은 아들을 둘만한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고 또 38:1의 "그 때에" 관해 추가적 의문이 꼬리를 물게 되는데도 말입니다. 그럼에도 학자들이 이 문제를 크게 논의 삼지 않은 더 중요한 이유는 성경의 다른 부분에도 년대기와 숫자 상에 비슷한 문제점들(오류가 아님)이 노정(露呈)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의 이 문제에 대한 견해는 한 마디로 이렇습니다. "야곱은 하란의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최소한 20년은 봉사했다. 그는 그곳에서 네 명의 아내(2명의 첩을 포함)에게서 12명의 아들을 낳았다. 그리고 애굽으로 이주해간 그의 가족은 최하 70명이다. 그리고 20년과 70명을 넘어서서 정확하게 얼마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20년과 70명이 반드시 틀렸다고 인정한 것이 아니라 그 보다 더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놓는 것이다." 


이는 어디까지나 제 개인의 의견으로서 이 문제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비방하거나 배제하자는 뜻은 전혀 없습니다. 집사님 말씀대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합리적인 이해를 해야 합니다. 오히려 아직 학술적으로 미결 상태이므로 계속해서 더 많은 연구와 분석이 나와야 합니다. 그러나 이런 미묘한 문제들은, 성경 앞뒤로 명료하게 연결되어 해석이 되지는 않지만 기독교 핵심 진리에  모순된 해석을 불러 오지 않는 한, 학계에서 완전히 인정 받는 새 학설이 나올 때까지 당분간 신학자들에게 맡겨 놓는 것이 나을 것이라는 뜻입니다.   


대신에 평신도들과 목사들은 성경의 이런 문제점들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해야 할 것인가의 원칙을 먼저 정립해 놓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래서 이 문제에 참고할만한 Article 두개를  아래에 첨부하면서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대신 하고자 합니다.(둘 다 제가 번역한 것이라 혹시 번역상의 문제점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대의에 주목하셔서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1. 왜 성경의 족보는 꼭 일치하지 않는가?(Why don't Bible Genealogies always match up?)    


창세기 5:3-32와 11:10-32의 족보에 나오는 숫자에 근거하여 아담이 언제 창조되었는지 계산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자주 제기된다. 주지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성경의 기자들이 비록 년대기적 추정이 가능한 기록을 다른 부분에서 하고 있지만, 족보의 수명을 결코 그런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년대 추정이 가능한 기록의 예로는, 출12:40에는 이스라엘은 애굽에 430년간 있었고, 왕상6;1에는 출애굽에서 솔로몬 왕이 성전을 건축하기 시작한 때까지가 480년이고, 삿11:26에는 가나안 입경 후로부터 기원전 1100년 경에 살았던 사사 입다의 시대까지가 300년이라는 것들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 세상과 아담과 이브의 창조 일자를 정하기 위해 창세기 5장의 노아 홍수 이전의 인물(antediluvians) 10명과 창세기 11장의 홍수 이후의 인물(postdiluvians) 10명의 수명을 합산하는 것은 성경이 독자더러 권장하는 일이 절대 아니다. 


그렇다면 그런 구절에서 수명이 그렇게나 주의 깊게 기록된 특별한 이유는 무엇인가? 합산해선 안 된다면 뭣 때문에 그런 수명이 포함되었는가? 첫째로, 인간은 근본적으로 불사(不死)로 영원히 살 수 있게 의도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만약 그 20명의 수명을 한 눈에 그래프 그리듯 고찰하면 보편적이고도 확고한 인간 수명의 흐름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천년에서 겨우 몇 년 모자라게 살다간 사람에게서부터 이제는 수명을 겨우 70년 정도밖에 기대 못하는 현대인들의 비참한 결과까지 말이다. 둘째로 또 그 숫자는 죄로 인간 육체에 죽음이 왔고 그 결과 늙어서는 아기를 가질 수 없게 되었다는 뜻이다. 


Lightfoot과 Usher 주교가 인류는 자오선(子午線) 기준 시간으로 기원전 4004년 10월 24일 오전 9시 30분에 창조되었다고 주장한 것은 전적으로 잘못된 것이었다. 성경 기록상의 수치로 이런 결론을 내선 안 된다. 성경의 족보는 일반적으로 생략이 포함되어 있다. 한가지 예로 마태복음 1:8에선 요람과 웃시야 사이에 아하시야(왕하8:25), 요아스(왕하12:1), 아마샤(왕하14:1) 세 왕을 누락했다. 저자 마태의 목적은 족보를 기억하기 좋게 14명씩 3조로 나누는 것이었는데, 그 이유는 14는 다윗(David에서 D=4, V or Hebrew waw=6, D=4, 히브리어 자음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번호를 매기는 법에 따르면)의 숫자였기 때문이었다. 


더 단적인 예는 마태복음1:1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다윗의 아들(the son of David)이자 아브라함의 아들(the son of Abraham)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히브리 원어는 문자적인 아들도 되고 후손이라는 뜻도 됨, 그래서 우리말 성경에는 자손이라고 번역되어 있음-역자 주) 다윗은 기원전 천년, 아브라함은 기원전 이천 년에 살았다. 창세기 5장과 11장에도 이와 비슷한 상당한 생략이 세대들 사이에 개입되어 있다. 만약 마태복음1:1을 족장 이전(prepatriarchal) 시대 식(즉 창세기 5장과 11장식-역자 주)으로 읽는다면 이렇게 될 것이다. "아브라함이 100살에 다윗을 낳았고 다윗은 40살에 예수를 낳고." [그러나 실제로는 아브라함은 백 살에 이삭을 낳았고 그 후손이 다윗까지 이어졌으며, 다윗이 40살이었을 때는 아마 솔로몬을 낳았을 것이고 또 그 후손이 예수까지 이어졌음]


따라서 성경 족보에 나오는 인물들의 나이는 일차적으로 그들이 장남을 가졌을 때가 언제인지와  그리고 오신다고 약속된 후손으로 이어지는 계보에 해당되는 후손에게만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풀어 설명하자면 이와 같다. 내 아버지가 성경에 기록될 만한 아주 중요한 사람으로 네 아들을 두었는데 그가 각각 100, 120, 140, 160살에 두었다고 가정해보자. 그리고 나는 그 가문의 장남이자 나를 통한 계보에 메시야가 올 것이라고 한다면 비록 나의 아버지는 나를 100살에 낳았고 또 메시야가 오려면 아직도 천년이 더 있어야 하지만, 성경이 내 아버지가 백 살에 메시야를 낳았다고 기록해도 하자가 없는 정확한 기록이라는 뜻이다.  


나아가 성경 족보에 나오는 숫자를 단순 합산하면 자칫 오류 내지 견강부회(牽强附會)식 해석을 낳게 된다고 성경 자체가 경고하고 있다. 노아 후기의 마지막 인물인 데라의 경우가 그 예다. 그는 70살에 세 쌍둥이를 낳았고(창11:26), 205살을 살았다.(창11:32) 그런데 단순 계산으로는 도저히 말이 안 된다. 아브람이 그 아버지 데라가 죽고 하란을 떠났을 때 나이는 135살이어야 하는데 75살이었지 않는가? 즉 성경상의 수치를 현재 우리가 이해하고 사용하는 방식으로만 적용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미 이 예에서만 60살의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창세기 11:26은 데라가 나이 70에 세 쌍둥이를 가진 것이 아니라, "나이 70에 아이를 낳기 시작했다"로 해석해야만 한다. 그래서 실제로 아브람은 데라의 나이가 70이 아니라 130이었을 때에 출생했고, 장남도 아니었다. 그럼에도 그는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기에 장남처럼 가장 먼저 언급이 되었던 것이다. 


이런 성경상의 문제점들에 관해선 고 William Henry Green이 "Biblical Sacra" 잡지의 1890년 4월 호에 게재한 기사 "原始 年代記(Primeval Chronology)"만큼 잘 설파한 것이 없다. Green은 역대하 6:3-14와 에스라 7:1-15에 나오는 아론 대제사장의 계보를 예로 들었다. 전자는 22세대인 반면에 후자는 오직 16세대만 언급했다. 그러나 이 두 계보를 병렬해서 비교해 보면 에스라가 의도적으로 8대에서 15대까지를 생략한 것을 한 눈에 볼 수 있는데, 바로 이런 생략이 어떤 면에선 성경 기록상 당연한 것인 양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이다. 마태복음 족보에도 이런 관습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실제로 에스라 8:1-2에는 그 생략이 더 심해지는데 아론의 손자와 증손자를 다윗의 자손과 함께 포로 귀환자의 명단에 포함시켜 놓고 있다! 바로 이것이 성경의 생략이다! 물론 에스라는 계보를 짧게 기록하다 보니 가장 중요한 인물만 언급하려 했던 것이다.     


성경의 다른 족보와 계보에도 동일한 문제점들이 거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생략은 일반적 현상이었다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하고 그래서 해석자들은 본문 자체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선 그런 점들은 무시해야 한다. 


By Walter C. Kaiser Jr./  "Classical Evangelical Essays in Old Testament Interpretation" (1972) pp13-28



2. 구약 성경의 많은 숫자들에 오류가 있는 것은 아닌가?(Aren't many Old Testament numbers wrong?)   


성경의 두드러진 난제(難題) 가운데 하나는 이스라엘 역사 초기의 인구 조사나, 후기 역사의 전쟁 기록에 나타나는 엄청나게 큰 숫자들에 관한 해석이다. 


고대 문서에서 숫자들은 동일한 국가와 문화권에서조차 여러 시대와 관습을 거치는 바람에 표준화와는 거리가 먼 다양한 체계에서 전승되었기 때문에 특별히 의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모든 구약 성경에는 숫자들이 소리 나는 대로만(phonetically)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고 해서 더 명시적인 숫자 체계나 기수법(記數法)이 그 수치들이 기록될 당시에 적용되지 않았다는 뜻은 아니다. 그러나 별도의 기수법으로 기록된 성경은 여태 발견되지 않았기에 여전히 이스라엘을 발굴하는 석수(石手)들의 수고에 기대해 보아야 할 것이다. 고고학적 증거가 될 수 있는 금석학(金石學)적 재료에 기록된 숫자라고는 모아비 석판(the Moabite Stone), 게제르의 달력(the Gezer Calendar), 사마리아에서 발굴된 패각(貝刻 the Ostraca)과 실로암의 히스기야 비문(the Siloam Inscription of Hezekiah) 등에 나타나는 것들 뿐이다. 그것도 크기가 너무 적고, 1에서 3만 사용했던지, 여전히 소리 나는 대로 적힌 것들이다. 

  

또 어떤 숫자들은 초기 사본에는 없던 것이 후대에 와서 추가된 것이라 학술적 논의에서 아예 제외된 것도 있다. 그런데도 혹자는 히브리 성경에 따르면 창조에서 홍수까지는 1656년이, 헬라어 칠십인 역에는 2,242년이, 사마리아 오경에는 1,307년이 걸린 것으로 주장하기도 한다. 


사실은 사마리아 사본이 야렛에서 므두셀라 사이에 100년, 라멕이 첫 아들을 낳을 때의 나이에서 120년을 빼버렸는데 필사로 복사할 때의 잘못이 계속 이어졌던 것 같다. 반면에 칠십인역은 아담, 셋, 에노스, 게난, 마할랄렐과 에녹이 첫 아들을 낳을 때의 나이에 백년씩 보태졌고, 라멕은 6년만 보태졌다. 이 노아 이전 6명의 선조들의 첫 아이를 낳을 때의 나이를 백년을 보태다 보니 남은 생애가 각각 백년이 감해진 채 홍수 연대에 반영된 것이다. 히브리 사본과 칠십인역에선 4년의 편차가 있는 라멕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들 6명 각각의 총 수명은 일치한다. 그러나 히브리 사본이 므두셀라의 수명을 969년이라고 한 반면에 사마리아 사본은 단지 720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세 사본들의 오차는 너무나 일정해서 필사자들이 소리 나는 대로 기록하지 않고 숫자를 기록하는 어떤 문자나 기호를 사용해서 작업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쉽게 추정되어진다.    

  

비슷한 문제들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면 많은 사본들이 바울이 파선했을 때의 총 승선 인원을 276명이라고 기록한 반면에 76명이라고 기록된 사본들도 몇 있다. 마찬가지로 그 유명한 요한계시록13:18의 666명을 616명으로 기록한 사본도 있다. 사무엘상 6:19에선 벧세메스에서 언약궤를 잘못 취급해 죽임을 당한 남자의 수가 50,070명이라고 다수의 사본들이 기록하고 있지만, 당시 이 소읍에 그만한 인구가 있었을 가능성이 희박해 70명이라고 적힌 소수의 사본들의 기록을 더 정확한 것으로 따르고 있다.


그러나 성경의 모든 숫자들이 지금껏 살펴본 것처럼 쉽게 다루어질 문제가 아니다. 출애굽하여 광야에서 40년간 방황한 이스라엘의 인구는 전쟁에 출전할 수 있는 20세 이상 남자들의 숫자에서 추정하면 2백만이 넘는다. 그래서 이 숫자를 줄여서 해석한 기법을 논쟁을 부르는 다른 구절에도 적용해 보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일반적으로 1,000을 뜻하는 히브리어 'elep'이 '가족' '가문' 혹은 '장막 집단(tent group)'의 뜻으로 해석하려는 것이었다. 그렇게 되면 민수기 1장과 26장의 전사들의 숫자는 603,550에서 5-6천 명으로 줄어든다.      


물론 그 단어가 사사기 6:15의 나의 '집'의 용례에서 보듯이 그런 뜻으로도 쓰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민수기에 의도된 그 삭감은 성경의 다른 부분에서 더 큰 문제를 야기시킨다. 예를 들어 출애굽기 38:25-26에서 20살 이상의 용사 603,550명에게 반세겔씩 받은 결과가 총 백 달란트와 1,775세겔이 되었다. 3천 세겔이 한 달란트이므로 3,000X100=300,000 세겔에 1,775를 보태면 총 301,775세겔이 된다. 그런데 일인당 반세겔씩 받았으므로 301,775의 두 배는 정확하게 민수기 1:46에 나타나는 603,550이 되고 또 민수기 26:51의 601,730에 근접한 수치가 된다. 따라서 그 단어를 가족 단위로 해석하는 것이 일견 타당해 보일지 몰라도 다른 곳에선 더 큰 문제만 만들 뿐이다. 이 경우는 성막에 소요된 재료를 기록한 것이라 정확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전체 국민의 숫자도 약 2백만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성경의 숫자상 가장 눈에 띄는 난제는 포로귀환 후기의 자료, 특별히 역대기에서 발견된다. 비복음주의적 학자들 대부분은 역대기의 수치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정도로 많다고 느낀다. 현대 주석가들의 눈에는 역대기 저자의 기록을 다른 어느 책보다 가장 의심스럽다고 간주한다. 역대기 상하에는 구체적인 숫자가 629회 등장한다. 


가장 대표적인 숫자는 여호사밧의 군대 숫자다. 역대기하 17:14-18에는 구체적으로 30만, 28만, 20만, 20만과 18만의 다섯 그룹으로 구성된 도합 116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많은 학자들이 이는 너무 과도한 숫자라고 여긴다. 이 숫자에 대해선 현대인들이 단지 과도하게 많다고 간주하는 것 말고는 그 신뢰성에 관해 비교해 볼만한 어떤 수치적 자료는 따로 없다. 


더 심각한 것은 서로 평행되는 구절에서 수치에 차이가 나는 것이다. 몇 가지 주목할만한 예로는;

역대상 19:18은 병거가 7천인 반면에 사무엘하 10:18에는 7백이다. 열왕기상 4:26에는 외양간이 4만인데 반해 역대기하 9:25에는 4천이다. 열왕기하 24:8에는 여호아긴이 열 여덟 살에 즉위했는데 역대기하 36:9에는 여덟 살이었다. 이런 예들은 히브리 사본의 필사 복사 때에 사소한 실수가 있었음의 명료한 증거가 된다. 


J. Barton Payne은 "맛소라 사본의 역대기를 사무엘서와 열왕기와 비교해 보면 필사자의 실수로 인한 숫자 11 개에 불일치가 있다. 역대기 기록 중 다섯은 정확하고, 다른 다섯은 부정확하며, 한군데는 불확실하다"라고 결론지었다. 


평행 구절에서 숫자가 일치하지 않는 대표적 예 하나를 더 들면, 느헤미야 7장과 에스라 2장이다. 각각 153개의 수치를 포함하는 33개 가문을 열거하는데, 그 중 29개의 수치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 문제 또한 필사 과정에서 수직으로 그어진 직선 부호는 한 단위(unit)를, 수평 직선 부호는 열명, 또 약어로 쓰여진 mem(100을 나타내는 히브리어 meah의 첫 글자)은 백 명을 뜻하는 부호들을 사용했는데 필사자가 부호 하나를 잘못 센 실수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한다. 대부분의 불일치가  이 부호 하나 차이에 의한 것임이 판명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실제로 숫자를 셀 당시의 여건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충분히 있었다. 에스라서의 계보는 바빌론에 집결했을 때에 기록된 것인 반면에, 느헤미야서의 그것은 예루살렘 성벽이 중건된 후 유대 땅에서 세어진 것이다. 따라서 그 동안에 생각이 달라져 귀환하지 않았거나 죽은 사람이 많았을 수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해 Allrik은 이렇게 결론 내렸다. "언뜻 보면 성경 기록상의 숫자의 오류는 매우 심각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그 숫자의 시대적 의미와 성격을 더 많이 알아갈수록 오히려 그런 자료들의 가치를 아주 높여준다."     


출처 "Hard Sayings of the Bible"(by IVP)의 서론 중에서


0 Comments
Hot

인기 영적인 가정을 세우기 위한 8가지 방법

댓글 0 | 조회 3,419
처치리더스닷컴 게재 ⓒ처치리더스닷컴미국 델레이 침례교회(Del Ray Baptist Church)에서 사역을 맡고 있는 가렛 켈(Garrett Kell) 목사는 최근 처치리더스닷컴에 ‘영적인 가정을 세우기 위한 8가지 방법’을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1. 가정의 헌신으로 영적인 가정을 만들라.집안 내에서의 일부 습관은 매일의 성경읽기보다 중요하다. 성경을 읽… 더보기
Hot

인기 은혜(grace)

댓글 0 | 조회 3,157
은혜(grace)은혜는 주고 받을 수 있는 게 아니라 하나님께서 일방적으로 베푸시는 선물우리말 신약성경에 ‘은혜’로 번역된 그리스어 ‘카리스’(우아함, 품위, 친절)는 구약성경에서 히브리어 ‘헨’(호의, 친절)과 맞닿아 있는 개념입니다. 헨이 쓰인 본문으로는 홍수를 앞두고 “노아만은 주님께 은혜를 입었다”(창 6:8, 이하 새번역), 요셉이 이집트에서 감옥… 더보기
Hot

인기 교회용어 ‘하나님 아버지’

댓글 1 | 조회 4,551
‘당신’이라는 말은 인칭에 따라 존대어가 되기도 하고 하대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당신이라는 말을 대화의 상대자인 2인칭이 아니라 3인칭으로 쓰면 웃어른을 높여 부르는 말이 된다. 구어체가 아닌 3인칭 문어체로서 당신은 시적인 의미를 더해 사람이 아닌 ‘국가’ ‘민족’을 존중하고 높여 부르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2인칭 구어체로서의 … 더보기
Hot

인기 원죄와 자범죄에 대해?

댓글 0 | 조회 4,854
원죄와 자범죄에 대해?[질문]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예정하사 그분의 뜻대로 구원을 이루시는데 만약 구원받지 못한 사람이 나중에 죽어서 하나님 심판대에 세워지면 아무도 하나님 앞에서 변명을 못할 것이라고 성경에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미 아담과 하와의 범죄로 타락한 존재가 되었고 영적으로 죽게 되었는데 본인은 그렇게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 것도 아니고 … 더보기
Now

현재 야곱은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얼마나 거주했는가?

댓글 0 | 조회 4,455
야곱의 하란 체류 40년설본문 : 창31: 38 및 41(내가 이 이십 년에 외삼촌과 함께 하였거니와 외삼촌의 암양들이나 암염소들이 낙태하지 아니 하였고 또 외삼촌의 양 떼의 수양을 내가 먹지 아니 하였으며.....내가 외삼촌의 집에 거한 이 이십 년에 외삼촌의 두 딸을 위하여 십사 년, 외삼촌의 양 떼를 위하여 육 년을 외삼촌을 봉사하였거니와 외삼촌께서 … 더보기
Hot

인기 일본을 용서합니다 - 빼앗긴 삶 34년 11개월 16일

댓글 0 | 조회 4,419
일제강점기 조선을 침략한 일본은 땅과 주권을 빼앗고, 창씨개명, 신사참배강요, 징용, 여인들을 끌어가 군인들의 성적노리개로 삼아 목숨과 재물과 종교와 교육, 자유를 빼앗아 식민화하는 등의 죄악을 자행하였다. 이 영상은 일본이 조선에 범한 죄악을 대하여 하나님의 백성 된 우리가 제사장의 자리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본의 죄악을 용서함을 선포합니다.빼앗… 더보기
Hot

인기 찬송가로 돌아가자!

댓글 0 | 조회 3,431
북한지하교회, 찬송가라고 소개된 한 사진찬송가가 현대 예배곡보다 더 좋은 7가지 이유미국의 예배사역자인 조나단 에이그너(Jonathan Aigner) 목사는 최근 파테오스(Patheos)에 '찬송가가 현대의 예배곡보다 더 나은 7가지 이유'라는 제목의 칼럼을 소개했다.에이그너 목사는 "난 망상가가 아니다. 오늘날 찬송가를 부르는 교회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더보기
Hot

인기 김민승 학생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은(찬송가 338장)' 찬송곡 묵상

댓글 0 | 조회 5,048
2018-1학기 제자 찬양곡 묵상 나눔백석대학교 '예배인도법' 과제로 제출된 김민승 학생의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은(찬송가 338장)'혼자 읽기 아까워 공유합니다. (페이스북 : 류세종목사의 예배 사역이야기)곡 소개제가 이번 리포트를 통해 분석할 곡은 [Nearer, My God, To Thee] 라는 꽤 유명한 찬송가(Hymn)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 더보기
Hot

인기 시니어교회 (갈렙교회) 이야기

댓글 0 | 조회 2,575
8년 전, 장로회에서 중요한 결의를 했습니다.장로들이 65세에 자원 은퇴하기로 한 것입니다.이런 결정을 한 이유는 조금이라도 더 빨리, 젊은 세대들에게 교회의 리더쉽을 맡기려는 것이었습니다.그 결정 이후, 저희 교회는 모든 교회 직분자들이 만 65세에 은퇴하게 되었습니다.그리고 실제로 교회는 많이 젊어졌고 더욱 활기가 넘치게 되었습니다.그러나 일찍 은퇴한 … 더보기
Hot

인기 경성교회 “아껴서 열심히 나눈다”

댓글 0 | 조회 3,943
헌금봉투 재활용에 주보도 없이 철저한 절약재정 50% 구제와 선교… “남 줄 곳 찾습니다”경성교회 담임 박종걸 목사아껴서 남 주는 교회가 있다. 상계동 경성교회(박종걸 목사) 이야기다. 교회는 설립 때부터 지금까지 자신을 위한 소비는 절제하고 재정의 50%를 구제사역에 사용했다.서울 노원구의 끝, 당고개역 근처에 자리잡고 있는 경성교회는 1988년 1월에 … 더보기
Hot

인기 "기도는 죽지 않는다" 홍장빈, 박현숙

댓글 0 | 조회 4,525
"사람은 죽어도 기도는 죽지 않는다.""교회를 떠난 자녀를 위한 기도"1단계 찬양과 감사로 시작한다주님, 이 아이를 제 자녀로 주셔서 감사합니다. 교회를 떠났지만 아직 주님을 떠나지 않은 것을 감사합니다. 그동안 아이를 통해 주님의 사랑을 경험했습니다. 아이가 어렸을 때는 기쁨도 많이 누렸습니다. 선물과 상으로 아이를 주신 것을 기억하며 감사드립니다.방황하… 더보기
Hot

인기 성경 필사가 우리 뇌에 미치는 영향

댓글 0 | 조회 5,060
성경 필사가 우리 뇌에 미치는 영향치매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사진 굿뉴스데일리얼마 전 LA 한인타운에 있는 한 노인 아파트와 교회의 홀로 되신 여성 싱글 모임에서 한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의 이해와 예방'이라는 세미나를 인도할 기회가 있었다. 이 때 많은 참석자들이 매우 유익한 강의였다는 말씀을 해 주셔서 격려가 되었는데, 지면을 빌어 이 세미나의 내… 더보기
Hot

인기 성경적 관점으로 본 ‘돈에 대한 탐욕’

댓글 0 | 조회 3,632
성경은 탐욕에 관해서는 매우 간단하다. 무언가를 향한 이 강렬하고 이기적인 욕망, 특히 돈과 부는 위험한 것이므로 어떤 기독교인들은 조심해야 한다. 하나님은 그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그분의 백성들이 그러한 기간을 갖기를 원하지 않으신다.최근 영국 크리스천투데이는 탐욕, 특히 돈에 대한 탐욕에 대해 성경이 무엇을 말하는지에 대한 기사를 올렸다.1. 그것은 사람… 더보기
Hot

인기 5명과 함께 개척한 교회, 7년 만에 250명으로 성장

댓글 0 | 조회 4,166
[서북미 한인교회를 간다(6)] 시애틀 행복한교회 조상우 목사"기도와 말씀을 기본으로 꾸준히 성장하는 교회"2004년 유학 길에 오른 조상우 목사와 그의 가족들은 남서울고신 노회와 시애틀고신(북서노회)이 서로 자매결연을 맺고 연합하면서 미국 시애틀에 왔다. 이곳에서 교회를 개척할 계획을 세웠기 때문이다. 행복한교회를 처음 개척할 당시 교회 멤버는 오직 조 … 더보기
Hot

인기 "정말 교회다운 교회" 목회자, ‘성도가 오기 편한 교회’ 만들려 해선 안돼

댓글 0 | 조회 3,919
♣ 교회정보넷 취지와 잘 어울리는 내용입니다.6시간동안주일예배드리는넘치는교회이창호목사이창호목사(넘치는교회)는매주성도들과6시간이상주일예배를드리고있다.성도들중대부분이청년들이어서가능한일이기도하지만,결코쉬운일은아니다.넘치는교회개척10년째인이목사는청년3백여명과함께매주예배드리고,전국을돌고해외를순회하며'뉴리바이벌'을부르짖고있다.6월'선교적교회컨퍼런스'강사로나와"영화한편… 더보기
Hot

인기 나는 교회 리포터(reporter) 입니다.

댓글 0 | 조회 3,334
누구나 교회 리포터가 될 수 있습니다.교회 성도라면 누구나 교회 리포터가 될 수 있습니다.우리 교회를 홍보하는 교회 리포터가 되어 보세요.교회를 섬기는 당신은 이미 교회 리포터입니다.♣참여방법1. 교회를 배경으로 인증샷을 찍습니다.2. 교회 주보와 함께 메일로 보냅니다.3. 메일주소 : thefull3927@naver.com4. 확인 후 등업해 드리면 끝^… 더보기
Hot

인기 “순종하다 넘어져도 다시 기도의 자리로”

댓글 0 | 조회 4,991
일러스트 박남희기도를 배우지만 기도를 하는, 아니 해야만 하는 중보기도학교에서 어마어마한 주제의 강의와 말씀을 통해 주님은 다시금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한 진리 앞에 서게 하셨다. 복음을 들은 이후 예수생명답게 살기는커녕 더욱 흉악하고 악독해진 나에게 주님은 이미 창세전에 이렇게 될 줄 다 아셨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하기로 결단하셨다는 하나님의 러브… 더보기
Hot

인기 한남대학교회 5일 한남대에 장학기금 3,500만원 기탁

댓글 0 | 조회 2,820
한남대학교회(담임 조용훈 목사)가 한남대에 발전기금 3,500만원을 기탁했다.지난 5일(금), 조용훈 목사를 비롯해 교인들은 총장실을 방문해 이덕훈 총장에게 발전기금 3,500만원을 전달했다.조 목사는 “대학교회 구성원들은 학생과 교인들을 신앙으로 잘 양육하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더불어 한남대를 위해 기도를 쉬지 않고 있다”며 “이번 발전기금이 한남대 발전을… 더보기
Hot

인기 제가 믿는 기독교가 이런 건가요?

댓글 0 | 조회 3,123
계속해서 터지는 목사들의 성추문,정치적 선동을 보면 크리스천이라고 말하기 너무 부끄러워요.제가 믿는 기독교가 이런 건가요?그런 얘기 들으면 정말 안타깝고..속상하고 목회 40년 했는데..교회가 지금 이 지경이 되었는가 하는..자괴감 같은 것들이 드는 게 사실입니다.사실 아름다운 게 변질되면 가장 추하거든요.사람들이 교회에 기대하고 있는 것은 뭔가 다른 삶이… 더보기
Hot

인기 행복의 기둥 "감사"

댓글 0 | 조회 1,889
“많은 사람이 저에게 팔 다리가 없는데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느냐고 물어봐요. 우리는 매일 매일 선택할 수 있어요. 가질 수 없는 것에 화를 낼 것인지, 가지고 있는 것에 감사해할 것인지”위는 2013년 힐링캠프에 출연한 닉 부이치치의 강연 내용입니다. 닉 부이치치는 1982년 호주에서 팔 다리가 없는 기형으로 출생하여 세 번이나 자살을 시도했지만, 15살에… 더보기
a37c65bdfe62a649b27013ff27da007b_1674969923_1732.png



 

최근글


새댓글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